유방삽입물로 유방확대를 한 경우 이전 글들에서 설명한 capsular contracture (피막구축 혹은 구형구축이라고도 한다)에 의해 딱딱해 지거나 모양이 흉하게 변형되거나, 통증 등으로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가끔있다.

capsular contracture(피막구축)의 발생기전은 앞서 간략하게 설명을 하였으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제시된 바가 없다. 그러나 현재 통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두가지 학설은 다음과 같다.

비대흉터에 의한 피막구축
수술을 받으러 오신 중년 여성분들 중 일부에서 자신이 켈로이드 체질인데 수술을 해도 괜찮냐고 물어보는 경우가 간혹 있다. 대부분의 경우 비대흉터를 켈로이드라고 생각하는 경우인데, 상처가 부풀어 오르고 두꺼워지면 대부분 자신이 켈로이드 체질이라고 생각한다. 비대흉터는 모든 성형외과 시술의 가장 흔한 합병증 중 하나로 유방확대에서도 피막구축이 이러한 비대흉터 때문이라는 가설이 있다. 비대흉터는 혈종, 삽입물의 부스러기, 흉터가 잘 생기는 체질, 지속적인 자극 등에 의해 비대흉터가 생겨 피막구축이 일어난다는 보고가 있다.

감염에 의한 피막구축
임상적으로 고름이 나오고, 피부가 붉어지는 등의 감염이 아닌, 임상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매우 약한 만성감염을 무증상 감염이라고 하는데, 유방삽입물을 사용한 유방확대 수술의 피막구축에 중요한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검출되는 세균은 정상적으로 피부에 존재하는 종류가 대부분이다. 이는 수술의 과정에서 오염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다양한 발표자료에 의하면 위에서 제시된 2가지의 원인 중 어느 한가지에 의해서만 발생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는 별도로 1998년 Wyatt 등은 피막형성이 삽입물이 들어 있었던 기간과 삽입물 바깥막의 유형과 관련이 있었다고 보고를 하였으며, 포켓을 작게 만든경우 등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방성형과 관련된 추가 정보는 우측 Search에서 '유방성형'으로 검색해 보시거나, 바디 실루엣 스타일링에 유방성형 컬럼을 보시면 됩니다.
실루엣 스타일링/가슴성형 | Posted by 실루엣 스타일리스트 2006. 8. 23. 17:55

Inverted nipple: 함몰유두

함몰유두란 젖꼭지가 나와 있지 않고 유륜(젖꼭지 주위의 색깔이 다른 둥근판)과 같은 높이거나 오히려 꺼져 있는 경우를 말한다. 자극이나 음압으로 젖꼭지가 나오는 경우도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는 발생학적으로 젖꼭지 바로 밑 조직의 불충분한 형성(생성)으로 인한 것으로, 쉽게 생각하면 젖꼭지 뒤쪽에 받쳐주는 조직이 부족하거나, 젖꼭지를 뒤쪽에서 당기는 섬유조직이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 유전적인 성향이 있어 어머니가 함몰유두라면 딸도 함몰유두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 대부분 아래 사진과 같이 양쪽 모두에 발생하며 1000명당 20명 전후의 여성이 함몰 유두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당연히 유방암 수술이나 유방염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정도에 따른 함몰유두의 분류
1. Grade I : 젖꼭지를 손으로 쉽게 당겨낼 수 있고 당기지 않아도 살짝 나와 있는 정도이다. 당연히 교정 수술을 매우 간단하다.
2. Grade II : 가장 흔한 형으로, 젖꼭지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킬 수는 있으나 놓으면 다시 함몰되는 경우이다.
3. Grade III: 손으로 젖꼭지를 돌출시키기가 매우 어렵고, 뭔가가 아래쪽에서 젖꼭지를 당기고 있다는 느낌이 확실하게 느껴진다. 따라서 돌출시킨 젖꼭지를 놓으면 즉시 함몰되어 버린다.

수술적인 방법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국소마취로 교정이 가능하며 기능적, 미용적인 측면이 모두 고려된다.
유두가 함몰되어 있으면, 청결함을 유지하기가 어렵고, 모유수유에 어려움이 따른다. 수술은 이러한 기능적인 측면이외에 미용적인 측면의 고민도 간단하게 해결 해 준다.




Inverted Nipple (함몰유두), Photo taken by H

실루엣 스타일링/가슴성형 | Posted by 실루엣 스타일리스트 2006. 8. 1. 01:28

유방성형의 골칫거리... Capsular Contracture

Capsular Contracture는 유방확대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이다. 삽입물과 주위의 인체조직이 관련된 특징적인 상태를 설명하는 단어로 적당한 이해가 쉬운 한글번역이 없다.

삽입물을 넣고 나면 삽입물 주위에 정상적인 치유과정에서 반흔(흉터)조직이 만들어진다. 동그란 삽입물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모양이 캡슐을 닮아 영어권에서는 capsule(캡슐)이라는 단어를 쓴다. 반흔의 형성과정에 정상적으로 쪼그라드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은 화상을 당한 환자의 화상상처에서 관찰 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캡슐이 쪼그라드는 현상을 의학적으로 capsular contracture라고 부른다.

Capsular contracture는 염증, hematoma나 seroma 등과 같은 수술합병증으로 더욱 촉진된다.

Capsular contracture는 대흉근(남성의 경우 열심히 키우려고 노력하는 가슴근육, 조류의 경우 날개짓에 중요한 근육이다)의 앞쪽(유방조직 바로 아래)에 삽입물을 위치시키는 경우 조금 더 흔하다 - 수술방법에서 확인해 보자.

증상은 유방삽입물이 보다 쉽게 만져지며, 약간 딱딱함을 느끼는 것에서부터 돌처럼 단단하게 느껴지는 경우도 있으며 가슴모양의 변형이 동반된다. 약간의 불편함에서 심한 통증이 동반되기도 한다.

통증이 심하거나, 너무 단단해진 경우 부가적인 수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수술은 작게는 삽입물 주위에 형성된 캡슐을 제거하는 것에서부터, 삽입물 자체를 교체하는 것까지 고려해야 한다. 아쉽게도 이러한 시술 후에도 또 다시 capsular contracture는 재발할 수 있다.


Baker Classification: 임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Capsular contracture의 분류

Baker Grade I : 가슴이 정상처럼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보인다.
Baker Grade II : 가슴이 약간 딱딱해져(a little firm) 있지만 자연스럽게 보인다.
Baker Grade III : 가슴이 딱딱하고(firm), 가슴모양에 변형이 생기기 시작한다.
Baker Grade IV : 가슴은 딱딱하고(hard), 모양에 커다란 변형이 생긴 상태, 통증이나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 Seroma: 혈종과 유사한 것이나, 혈액대신 체액이 고여있는 것을 의미한다.
* 의학용어에서 -ma는 덩어리를 뜻하는 접미어로 흔히 사용된다. 예를 들어 hematoma는 혈액덩어리, lipoma는 지방덩어리로 지방종을 의미한다.
실루엣 스타일링/가슴성형 | Posted by 실루엣 스타일리스트 2006. 8. 1. 01:26

유방확대 삽입물과 관련된 기타 합병증

교원조직질환 (Connective Tissue Disease)
유방삽입물이 자가면역성 질환이나 교원조직질환과 관련성이 있다는 것에 대해 수술을 받은 사람이나 받으려고 하는 사람 모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질환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lupus, scleroderma 등이 있으며, 관심이 증가하게된 배경으로 유방삽입물을 삽입한 일부의 여성들에게 이러한 합병증이 발견되었다는 보고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방삽입물로 수술을 받은 여성과 수술을 받지 않은 대규모의 여성군을 대상으로한 조사에서 이러한 질환과 유방삽입물사이에는 큰 관련이 없다고 밝혀졌다. 그러나 아직도 시술받은 많은 여성들은 삽입물에 의해 이러한 교원조직질환이 유발된다고 믿고 있다.

암 (Cancer)
이미 발표된 연구결과에서 유방확대술을 받은 환자와 받지 않은 환자사이에 아무런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음 세대에 대한 영향 (Second Generation Effects)
유방삽입물로 수술을 받은 여성이 임신을 하여 출산-수유과정에서 자녀들에게 혹시 영향을 주지 않을까 하는 의문점으로 아직 어떤 결론을 내리기에는 확보된 자료들이 너무 부족한 상태다.